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부동산 직거래 피해사례

by 에이원공인 2025. 2. 10.
반응형

부동산 직거래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피해 사례를 몇 가지 소개하겠습니다. 이런 피해를 예방하려면 계약 전 반드시 신중한 확인이 필요합니다.

1. 가짜 집주인 사칭

  • 사례: 인터넷에 올라온 매물에 대해 연락을 취한 후, 매도자가 집주인이라고 주장하며 계약을 진행합니다. 계약금이나 중도금을 받은 뒤 연락을 끊고 잠적하는 방식입니다. 피해자는 실소유자가 아닌 사기꾼에게 계약금을 지불한 후, 실제 소유자와의 거래에서 피해를 입게 됩니다.
  • 예방 방법: 거래 전 반드시 등기부등본을 확인하여 소유자와 집주인이 일치하는지 점검하고, 실소유자와 직접 대면하여 계약을 체결합니다.

2. 중도금 사기 (먹튀)

  • 사례: 매도자가 거래 중 중도금을 받은 후 잠적하는 경우입니다. 중도금 지급 후, 집을 보러 갔을 때 연락이 끊기거나 매물이 이미 팔렸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 피해를 입게 됩니다.
  • 예방 방법: 계좌이체 내역을 철저히 기록하고, 중도금 지급 전 거래의 확실한 조건을 합의합니다. 특히 계약서에 구체적인 일정과 위약금 조항을 명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3. 허위 매물 등록

  • 사례: 부동산 직거래 사이트나 커뮤니티에 존재하지 않는 부동산 매물을 올려놓고, 피해자에게 연락을 유도합니다. 계약금을 지불하게 한 후, 실제로는 해당 부동산이 존재하지 않거나 매물이 다른 사람에게 팔려 버리는 경우입니다.
  • 예방 방법: 매물의 존재 여부를 직접 확인하고, 부동산 관련 서류를 요구해 실제 매물이 존재하는지 확인합니다.

4. 이중 계약

  • 사례: 동일한 부동산에 대해 다른 사람과 중복 계약을 체결한 뒤, 계약금을 받은 후 잠적하는 사기입니다. 이는 집주인이 아닌 사람이 계약을 진행하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.
  • 예방 방법: 거래 전에 등기부등본을 확인하고, 계약서를 작성할 때 임대차계약서 또는 매매계약서 외에도 소유권 증명서류 등을 요청하여 확인합니다.

5. 불법 임대차 계약

  • 사례: 세입자가 전세 계약을 하면서 매도자와의 동의를 받지 않고 계약서를 작성하는 경우, 나중에 실제 소유자가 집을 팔거나 다른 조치를 취할 때 문제가 발생합니다.
  • 예방 방법: 계약 전 반드시 소유자와 대면하여 계약을 진행하고, 전세 계약서에 확정일자를 받습니다.

6. 불법 증축 및 위법 건물 거래

  • 사례: 건물이 불법 증축된 경우, 나중에 거래자가 이를 인지하고 손해를 입게 되는 사례입니다. 특히 직거래에서는 건물의 법적 상태를 충분히 확인하지 않아 발생할 수 있습니다.
  • 예방 방법: 건축물대장을 통해 건물의 합법 여부를 확인하고, 부동산 거래 전 반드시 법적 절차를 따릅니다.

7. 허위 광고로 인한 시세 차익

  • 사례: 불법적으로 시세를 올리기 위해 허위 광고를 게시하는 경우입니다. 특히 외부 광고나 소셜 미디어에서 직거래를 유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  • 예방 방법: 실거래가 확인 시스템을 통해 시세를 확인하고, 다른 구매자들과의 가격 차이를 비교합니다.

예방을 위한 팁

  • 계약서 작성 시 반드시 법적 효력이 있는 문서로 작성
  • 직접 확인하는 절차를 통해 사기 피해 예방
  • 계약금 송금 전 반드시 실소유자와 대면

부동산 직거래는 유리한 점이 많지만, 주의할 점도 많습니다.

사기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늘 신중하게 거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!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