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임대사업자 보증보험 요율 선정 기준
임대사업자가 가입해야 하는 **임대보증금 반환 보증보험의 요율(보험료율)**은 여러 요소에 따라 결정됩니다. 일반적으로 임대인의 신용도, 임대주택 유형, 임대차 계약 조건 등에 따라 보험료율이 달라집니다.
📌 1. 보증보험 요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
① 임대인의 신용 등급
- 신용등급이 높을수록 보험료율이 낮음, 반대로 신용도가 낮으면 보험료가 높아짐
- 연체 이력, 대출 상태, 금융 거래 내역 등이 평가 대상
📌 예시:
신용등급예상 보험료율 (연 보증료율)1~3등급 (우량) | 0.1~0.15% |
4~6등급 (보통) | 0.2~0.4% |
7등급 이하 (위험) | 0.5% 이상 |
✅ 신용도가 높으면 낮은 보험료율 적용 가능!
② 임대주택의 유형
- 아파트, 오피스텔, 다가구·다세대, 단독주택 등 주택 유형에 따라 요율 차이
- 일반적으로 아파트가 가장 낮고, 다세대·다가구는 상대적으로 높음
📌 예상 보험료율 비교
주택 유형예상 보험료율아파트 | 0.1~0.2% |
오피스텔 | 0.15~0.3% |
다세대·다가구 | 0.2~0.4% |
단독주택 | 0.3% 이상 |
✅ 아파트일수록 보험료가 저렴한 경향
③ 임대보증금 금액 및 계약 기간
- 보증금이 클수록 보험료율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음 (단, 절대 보험료는 높아짐)
- 계약 기간이 길수록 요율 할인 가능 (보통 2년 계약 기준)
📌 보증금 규모별 보험료율 예시
보증금 금액예상 보험료율1억 원 이하 | 0.2~0.4% |
1억~3억 원 | 0.15~0.3% |
3억 원 이상 | 0.1~0.2% |
✅ 보증금이 많을수록 요율 할인 가능
④ 임대인의 금융거래 및 부채 비율
- 임대인의 부채 비율이 높거나, 근저당이 설정된 경우 보험료율 상승
- 대출이 많으면 보증금 반환 위험이 커지므로 요율이 올라감
✅ 부채 비율이 낮고, 담보 대출이 적을수록 유리
⑤ 보증보험 가입 기관에 따른 차이 (HUG vs. SGI서울보증)
- HUG(주택도시보증공사): 공공기관으로 요율이 상대적으로 낮음
- SGI서울보증: 민간 보험사로, 신용등급 및 개별 심사에 따라 요율이 달라질 수 있음
📌 기관별 차이
기관특징HUG | 공공기관, 상대적으로 저렴, 요율 고정 (대부분 0.15~0.2%) |
SGI서울보증 | 민간보험사, 신용도 따라 요율 차등, 최대 0.5%까지 가능 |
✅ HUG가 일반적으로 저렴하지만, SGI는 임대인의 신용도가 높다면 유리할 수도 있음
📌 2. 실제 보험료 계산 예시
예시 1: 신용도 우량, 아파트, 보증금 2억 원
- 요율: 0.15%
- 연 보험료 = 2억 × 0.15% = 30만 원
예시 2: 신용도 보통, 다세대주택, 보증금 1억 원
- 요율: 0.3%
- 연 보험료 = 1억 × 0.3% = 30만 원
예시 3: 신용도 낮음, 단독주택, 보증금 5천만 원
- 요율: 0.5%
- 연 보험료 = 5천만 원 × 0.5% = 25만 원
✅ 보증금이 많을수록 보험료율이 낮아지는 경향
📌 3. 결론: 보험료율 낮추는 방법
✅ 신용등급을 높이고(연체 방지, 부채 관리)
✅ 아파트 같은 보험료율이 낮은 유형의 주택을 선택하고
✅ 보증금을 높여(가능하면 1억 이상)
✅ HUG를 이용하면 비교적 저렴한 요율 적용 가능
📌 추가로 궁금한 점 있으시면 보증공사 (HUG, SGI) 를 통해 자세한 상담이 가능합니다 .
.
.
.
전속중개전문 송파강동에이원
02-474-9826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