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■ 도입부: 왜 이 글이 지금 중요할까?
“2025년 6월 셋째주,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전주 대비 0.36% 상승했습니다.” 이는 2018년 9월 이후 약 6년 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률입니다. 특히 **강남 3구(강남·서초·송파)**와 ‘마용성(마포·용산·성동)’ 지역에서 상승 거래 비중이 절반 이상을 넘긴 지역이 9개 자치구에 달하면서 투자자와 실수요자의 관심이 다시 집중되고 있습니다.
■ 자치구별 아파트값 상승 거래 비중 TOP 순위
순위자치구상승 거래 비중 (%)
1 | 강남구 | 67.0 |
2 | 용산구 | 61.1 |
3 | 서초구 | 58.4 |
4 | 중구 | 57.5 |
5~9위 | 성동구, 마포구, 송파구 등 | 50% 이상 |
- 요약: 4개 구는 60% 이상, 9개 구는 50% 이상이 ‘상승 거래’로 분류됨
■ 6월 셋째주 자치구별 주간 상승률
순위 | 자치구 | 주간 상승률 | 비고 |
1 | 성동구 | 0.76% | 12년 2개월 만 최대 상승 |
2 | 강남구 | 0.75% | 재건축 기대 단지 강세 |
3 | 송파구 | 0.70% | 잠실, 신천 대단지 중심 상승 |
4 | 강동구 | 0.69% | 둔촌, 고덕 재건축 중심 상승 |
5 | 마포구 | 0.66% | 통계 작성 이후 최대 상승폭 |
6 | 용산구 | 0.61% | 7년 4개월 만의 최고 상승률 |
7 | 서초구 | 0.65% | 반포, 래미안 등 중고가 단지 상승 |
서울 전체 평균 상승률: 0.36%
■ 서울 vs 수도권 vs 지방 비교
- 수도권 전체: 0.13% 상승 (전주 0.09% → 금주 0.13%)
- 지방 전체: –0.03% (5대 광역시 –0.04%, 기타 도 –0.02%)
- 세종시: 유일하게 지방 중 +0.10% 상승
- 전국 평균 상승률: 0.05%
■ 상승 원인 분석
- 재건축 기대감 → 강남·강동·서초 중심 상승
- DSR 규제 전 매수 심리 급등 → 7월 전 마지막 기회라는 인식 확산
- 고금리 피로감 + 금리 인하 기대 → 실수요자 유입
- 신고가 경신 단지 다수 → 시장 심리 자극
■ 실수요자 & 투자자 전략은?
투자자 관점
- 재건축 가능성 높은 단지 위주 선점 전략 유효
- 고점 경계 필요, 신고가 이후 하락 리스크 체크
실수요자 관점
- 전세보다 매매가 유리한 단지 찾는 타이밍
- 7월 DSR 이후 대출 여건 악화 가능성 고려
■ 향후 전망
- 7월 DSR 3단계 도입 이후 단기 조정 가능성
- 금리 인하 기대감 → 중장기적으로는 상승 여력 유지
- 전세시장도 동반 상승 → 매매 수요 자극
◆ 마무리 요약
현 거래신고 되지 않은 매매까지 고려하면 상승폭은 더 클 수 있습니다 .
“서울 아파트값, 20주 연속 상승세. 상승 거래율 50% 이상 자치구 9곳 돌파. 강남·성동·마포 중심 상승세 확대 중. 7월 DSR 전 마지막 진입 타이밍 될 수 있다.”
👉 지금이 서울 아파트 시장의 방향성과 구조 변화를 정확히 파악할 마지막 기회일 수 있습니다. 실수요자든 투자자든 정보에 기반한 전략 설정이 필요합니다.
▶ 다음 글 예고
《7월 DSR 3단계 시행,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전략》
2025년 7월부터 시행되는 DSR 3단계 규제는 실제 매수·대출 가능성에 어떤 변화를 줄까요?
- 대출 한도는 얼마나 줄어드는가?
- 수요 위축이 집값 하락으로 이어질까?
- 규제 전에 사야 할까, 이후가 더 유리할까?
👉 다음 글에서는 실제 사례, DSR 기준표, 영향받는 지역, 전략적 대응 방법까지 정리해 드릴 예정입니다. 놓치지 마세요!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