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년 6월 셋째주(6/16 기준) 서울 아파트값 상승 거래율 TOP 구별 순위 분석

by 에이원공인 2025. 6. 23.
반응형
 
■  도입부: 왜 이 글이 지금 중요할까?
 

“2025년 6월 셋째주,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전주 대비 0.36% 상승했습니다.” 이는 2018년 9월 이후 약 6년 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률입니다. 특히 **강남 3구(강남·서초·송파)**와 ‘마용성(마포·용산·성동)’ 지역에서 상승 거래 비중이 절반 이상을 넘긴 지역이 9개 자치구에 달하면서 투자자와 실수요자의 관심이 다시 집중되고 있습니다.


 

■  자치구별 아파트값 상승 거래 비중 TOP 순위

순위자치구상승 거래 비중 (%)

1 강남구 67.0
2 용산구 61.1
3 서초구 58.4
4 중구 57.5
5~9위 성동구, 마포구, 송파구 등 50% 이상
  • 요약: 4개 구는 60% 이상, 9개 구는 50% 이상이 ‘상승 거래’로 분류됨

■  6월 셋째주 자치구별 주간 상승률

순위 자치구 주간 상승률 비고
1 성동구 0.76% 12년 2개월 만 최대 상승
2 강남구 0.75% 재건축 기대 단지 강세
3 송파구 0.70% 잠실, 신천 대단지 중심 상승
4 강동구 0.69% 둔촌, 고덕 재건축 중심 상승
5 마포구 0.66% 통계 작성 이후 최대 상승폭
6 용산구 0.61% 7년 4개월 만의 최고 상승률
7 서초구 0.65% 반포, 래미안 등 중고가 단지 상승

서울 전체 평균 상승률: 0.36%


■  서울 vs 수도권 vs 지방 비교

  • 수도권 전체: 0.13% 상승 (전주 0.09% → 금주 0.13%)
  • 지방 전체: –0.03% (5대 광역시 –0.04%, 기타 도 –0.02%)
  • 세종시: 유일하게 지방 중 +0.10% 상승
  • 전국 평균 상승률: 0.05%

■  상승 원인 분석

  1. 재건축 기대감 → 강남·강동·서초 중심 상승
  2. DSR 규제 전 매수 심리 급등 → 7월 전 마지막 기회라는 인식 확산
  3. 고금리 피로감 + 금리 인하 기대 → 실수요자 유입
  4. 신고가 경신 단지 다수 → 시장 심리 자극

■  실수요자 & 투자자 전략은?

투자자 관점

  • 재건축 가능성 높은 단지 위주 선점 전략 유효
  • 고점 경계 필요, 신고가 이후 하락 리스크 체크

실수요자 관점

  • 전세보다 매매가 유리한 단지 찾는 타이밍
  • 7월 DSR 이후 대출 여건 악화 가능성 고려

■  향후 전망

  • 7월 DSR 3단계 도입 이후 단기 조정 가능성
  • 금리 인하 기대감 → 중장기적으로는 상승 여력 유지
  • 전세시장도 동반 상승 → 매매 수요 자극

◆  마무리 요약

 

현 거래신고 되지 않은 매매까지 고려하면 상승폭은 더 클 수 있습니다 .   

“서울 아파트값, 20주 연속 상승세. 상승 거래율 50% 이상 자치구 9곳 돌파. 강남·성동·마포 중심 상승세 확대 중. 7월 DSR 전 마지막 진입 타이밍 될 수 있다.”

 

👉 지금이 서울 아파트 시장의 방향성과 구조 변화를 정확히 파악할 마지막 기회일 수 있습니다. 실수요자든 투자자든 정보에 기반한 전략 설정이 필요합니다.

 

 

 

▶  다음 글 예고

《7월 DSR 3단계 시행,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전략》

2025년 7월부터 시행되는 DSR 3단계 규제는 실제 매수·대출 가능성에 어떤 변화를 줄까요?

  • 대출 한도는 얼마나 줄어드는가?
  • 수요 위축이 집값 하락으로 이어질까?
  • 규제 전에 사야 할까, 이후가 더 유리할까?

👉 다음 글에서는 실제 사례, DSR 기준표, 영향받는 지역, 전략적 대응 방법까지 정리해 드릴 예정입니다. 놓치지 마세요!

 
반응형